▶ 연구조직
• 복지공학 연구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개발 분야로써는 감각정보공학 연구팀, 실버공학연구팀, 재활 의공학 연구팀, 복지정보개발 및 관리 연구팀을 두며 각 연구 분야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.
가) 실버공학연구팀
• 고령층 인구의 증가에 따른 사회적으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웰빙의 유지․확보를 통하여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의료 및 생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제반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를 한다.
= 연구테마 =
- 고령층(실버계층)을 위한 전문 의료 기술 개발
- 실버성 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 및 재활 기술 개발
- 실버계층을 위한 재택 진료 시스템 개발 연구
- 실버계층을 위한 쾌적 의류 디자인 연구
- 실버계층을 위한 실버 시스템 개발 연구
- 노화메커니즘에 대한 분석기술개발
나) 감각/센서 연구팀
• 기성세대와는 다른 고령층의 감각을 활용한 복지공학을 목표로, 인간의 감각기능을 해석 및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한다. 센서를 통해 얻어진 지식, 기술을 감성공학이나 Virtual Reality에 응용하며, 이들 첨단기술을 감각대행 시스템분야 등의 복지공학분야에 피드백 시키는 연구방법을 취한다.
= 연구테마 =
- 센서를 통한 동작 추적 및 분석
- Biofeedback을 이용한 재활훈련 장치 개발
- 오감의 자극에 의한 통합적인 식물인간 재활 시스템의 개발
- 인공현실감 기술을 활용한 재활훈련 시스템의 개발
- 인공감각 제시 기술 및 감각기능대행 기술의 개발
- 음악 치료
- 색채 치료
다) 재활의공학 연구팀
• 고령화 시대와 스마트 시대에 발맞추어 재활 시스템을 HCI 기술을 접목
• 교통사고, 산업재해, 고령인구의 증가뿐만 아니라, 각종 질병의 진행에 의하여 2차적으로 발생하는 장애의 예방 및 장애의 평가, 치료, 훈련, 의지기구의 처방, 장착 등 장애에 대한 예방으로부터 치료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재활훈련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재활 장비의 개발에 필요한 의학적인 지견의 제공 및 개발된 기기의 임상적인 평가를 담당한다.
• 특히, 다른 연구분야에서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각종 복지 재활기기의 임상적용 및 평가를 담당하고 평가결과를 개발팀에 피드백 시킴으로써, 개발하는 기기를 개량 보완하도록 하여, 재활 복지기기의 실용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.
= 연구테마 =
- 인지 재활 프로그램
- 실버 계층을 위한 스포츠 기기 개발
- 재활기기의 임상적 기능 평가
- 새로운 재활치료 및 훈련기법의 임상 적용
- 재활훈련 프로그램의 개발
- 선천성 기형 및 질환자에 대한 운동분석
- 재활 훈련기법의 체계화 및 과학화
라) 정보 개발 및 관리 연구팀
• 노령자 및 장애인의 생활을 지원하고 보조하기 위한 각종 복지공학에 관한 정보의 관리 및 새로운 정책제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.
• 복지공학 정보의 개발에 있어서는, 세계에 있어서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각종 재활보조기기에 대한 조사 및 평가를 수행 및 각종 복지관련 정보를 개발하여 컴퓨터 통신망을 통한 정보제공자(IP, information provider)의 역할을 수행한다.
• 또한, 사회복지학 및 심리학적인 견지에서 현재의 정책을 분석 평가하여 보다 더 효율적인 정책의 제시를 통하여, 복지사회의 구현을 위한 사회적인 문제를 다루도록 한다.
= 연구테마 =
-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장애자 재활정보 서비스
- 전북지역 복지 재활 관련 기관, 병원의 소개
- 최신 복지․재활기기 소개
- 정보 통신망에 의한 재택 간호 지원 시스템 개발
- 노령자, 장애자의 심리적 상태분석 및 대응법 개발
- 장애의 정도에 따른 복지, 직업, 교육법의 개발